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 신청, 그 배경과 논란

by 빙홍차 2025. 3. 18.
반응형

최근 국내 대형마트 업계에서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는 홈플러스의 기업회생절차 신청이 화제입니다. 홈플러스를 운영하는 MBK파트너스의 김광일 부회장(홈플러스 공동대표) 3 18일 국회 정무위원회에 출석해 홈플러스의 회생 절차 신청 배경과 향후 계획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이를 둘러싼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으며, 대형 유통업계의 구조 변화 속에서 홈플러스의 생존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홈플러스의 기업회생 절차 신청 배경, 주요 논점, 업계 및 전문가들의 반응, 향후 전망 등을 심층적으로 분석해보겠습니다.

기업 회생 절차에 관한 그림


1. 홈플러스의 기업회생절차 신청 배경

홈플러스는 지난 3 4일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습니다. 이는 회사가 법원의 감독 하에 채권자들과 협의하여 채무를 재조정하고 재정적 건전성을 회복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1) 자금 조달 문제

홈플러스는 최근 몇 년간 지속적인 경영 악화를 겪어왔습니다. 김광일 부회장에 따르면,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한 주요 이유는 "3개월 동안 6000~7000억 원의 자금 상환이 도래했음에도 불구하고 부도를 막을 방법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밝혔습니다.

홈플러스는 기존 대출금을 갚기 위해 새로운 자금을 조달해야 했으나, 신용등급이 하락하면서 정상적인 금융거래가 어려워졌습니다. 특히 지난달 신용평가기관이 홈플러스의 단기사채 신용등급을 'A3'에서 'A3-'로 하향 조정한 것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김 부회장은 "'A3-' 등급의 기업어음(CP)은 시장에서 거의 거래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대출 연장이 어려워졌다고 설명했습니다.

(2) 코로나19 여파와 매출 감소

코로나19 팬데믹은 대형마트 업계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김 부회장은 "코로나19로 인해 마트 매출이 1조 원 이상 감소했다"고 언급하며, 이는 홈플러스의 재정 상태 악화에 주요한 원인 중 하나라고 밝혔습니다. 팬데믹 기간 동안 소비자들은 온라인 쇼핑으로 이동했으며, 이에 따라 전통적인 오프라인 대형마트의 매출이 급감하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2. MBK파트너스의 역할과 논란

MBK파트너스는 2015년 홈플러스를 영국 테스코(Tesco)로부터 인수했으며, 당시 인수 금액이 72000억 원에 달한다는 주장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김광일 부회장은 이에 대해 "실제 인수 금액은 6조 원이었다"고 정정했습니다.

(1) 과거 구조조정 및 자산 매각

MBK파트너스는 홈플러스 인수 이후 여러 차례 구조조정을 단행했습니다. 특히 부동산을 매각하는 '세일 앤 리스백(Sale and Leaseback)' 방식을 통해 자금을 확보했지만, 이로 인해 매장을 임차하는 형태로 전환되면서 고정 비용이 증가했습니다. 업계에서는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를 단기적인 수익 창출 수단으로 활용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2) '먹튀' 논란

일각에서는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를 통해 상당한 수익을 거둔 후, 결국 기업회생을 신청하여 책임을 회피하려 한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노동조합과 일부 정치권에서는 "사모펀드가 기업을 인수한 후 수익을 극대화하고, 이후 문제가 발생하면 회생 절차를 통해 손을 떼려는 전형적인 '먹튀' 전략"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3. 기업회생 절차가 미칠 영향

홈플러스의 기업회생 신청은 단순한 한 기업의 위기가 아니라, 대형 유통업계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건입니다.

(1) 협력업체와 직원들의 불안

기업회생 절차가 진행되면 협력업체에 대한 결제 지연 가능성이 높아지고, 대규모 구조조정이 이뤄질 수도 있습니다. 특히 홈플러스는 전국적으로 20,000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어, 이들의 고용 안정성에도 큰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2) 대형마트 업계의 변화

최근 몇 년 동안 대형마트 업계는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온라인 쇼핑의 급성장으로 인해 오프라인 매장의 중요성이 줄어들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존 대형마트들도 변화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홈플러스의 위기는 다른 경쟁사인 이마트, 롯데마트에도 경고 신호가 될 수 있습니다.


4. 향후 전망

홈플러스는 기업회생 절차를 통해 구조조정을 단행하고 재정 건전성을 회복할 계획입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노동조합 및 협력업체와의 마찰이 예상되며, 법원의 심사 과정에서도 논란이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1) 구조조정과 매장 축소 가능성

기업회생 절차를 통해 홈플러스가 일부 비수익 매장을 정리하고 인력 감축을 단행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매출 감소와 비용 절감을 위한 필수적인 조치일 수 있으나, 노동계와의 갈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2) 인수 합병(M&A) 가능성

일각에서는 홈플러스가 기업회생 과정에서 새로운 투자자를 유치하거나, 경쟁사에 인수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국내외 유통기업들이 홈플러스의 자산에 관심을 가질 수 있으며, M&A가 대안으로 떠오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3) 정부의 역할

정부 및 금융당국도 홈플러스의 기업회생 절차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대형마트 산업의 구조 조정 및 유통산업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분석할 것으로 보입니다.


5. 결론

홈플러스의 기업회생 절차 신청은 국내 유통업계의 큰 변화 속에서 벌어진 사건으로, 단순한 기업 문제를 넘어 산업 전반에 걸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큽니다. 기업회생 절차가 성공적으로 진행될 경우 홈플러스는 새로운 사업 전략을 수립하고 경쟁력을 회복할 기회를 얻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협력업체, 직원, 소비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될 것입니다.

향후 홈플러스가 어떻게 변화할지, 그리고 국내 유통업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